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은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현상입니다.
태양빛은 모든 색깔의 빛이 모여 있는 빛입니다.
빛의 색깔은 파장에 따라 결정되며 파장이 짧은 빛은 파란색, 파장이 긴 빛은 빨간색입니다.
태양빛이 대기 중으로 들어오면, 대기 중의 공기 분자에 부딪혀 산란되는데 산란은 빛이 입자와 부딪혀서 방향을 바꾸는 현상입니다.
공기 분자는 매우 작기 때문에, 태양빛의 파장이 긴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빛은 산란되지 않고, 파장이 짧은 파란색, 보라색 빛은 많이 산란됩니다.
우리가 하늘을 보면, 파란색 빛이 많이 산란되어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인데
이러한 현상을 레일리 산란이라고 합니다. 레일리 산란은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산란이 더 많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현상은 대기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대기 중의 공기 분자가 많을수록, 산란이 더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하늘은 더 짙은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또한, 대기 중의 먼지, 연기, 수증기 등의 양이 많을수록, 산란이 더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하늘은 더 어두운 파란색이나 푸른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해가 뜨고 질 때, 하늘은 붉은색으로 보입니다. 이는 태양빛이 지평선에 가까워지면서, 대기를 통과하는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입니다. 대기를 통과하는 거리가 길어지면, 파란색 빛은 대부분 산란되어 사라지고, 빨간색 빛만 남게 됩니다.
따라서 해가 뜨고 질 때, 하늘은 붉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